사용자 삽입 이미지

옥토버 스카이
October Sky, 1999

드라마
미국
108 분 
감독: 조 존스톤 
주연: 제이크 질렌홀(호머 힉캠), 크리스 쿠퍼(존 힉캠), 로라 던(미스 프레이다 라일라)...
국내 전체 관람가   
해외 PG


1950년대 웨스트 버지니아(West Virginia)의 암울한 탄광촌에서 로켓을 통해 새로운 미래와 꿈을 실현시키려는 호머 힉캠(Homer Hickam)의 자전적 스토리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 1957년 10월 4일에 지구 주변을 돈 최초의 인공위성으로 기록된 소련의 스푸트니크를 보고 감명을 얻은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의 탄광촌에 사는 한 소년이 친구 3명과 함께 아버지의 반대와 주변의 비웃음을 극복하며 로켓 제작에 성공하는 실제 이야기를 영화화한 이 작품은 은퇴 후 작가로 활동 중인 나사 엔지니어, 호머 '서니' 힉컴(Homer 'Sonny' Hickam)의 에세이 '로켓 보이스(Rocket Boys)'를 토대로 조 존스턴이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주인공인 호머 힉컴 역에는 헐리웃 톱스타로 부상한 제이크 질렌홀이 메이저 작품들에 출연하기 전 순수한 청년상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가타카>에서 주인공 빈센트 안톤 프리만의 동생인 안톤 프리만의 아역으로 데뷔했던 윌리엄 리 스캇과 <아메리칸 파이>의 크리스 오웬과 채드 린드버그가 주인공 호머 힉컴과 함께 로켓 제작에 참여하는 친구 로이 리 쿡, 쿠엔틴 윌슨, 셔먼 오델으로 각각 출연한다. 그 외에 아들의 로켓 제작을 반대하며 탄광 엔지니어가 되길 바라는 아버지 존 힉컴 역에 <어댑테이션>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한 크리스 쿠퍼가, 빅 크릭 고등학교의 과학 선생이자 호머의 은사인 프레이다 라일리 역에 <쥬라기 공원>의 로라 던이 출연했다. 국내엔 정식 개봉이 되지 않아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미국 내에서는 흥행에 성공했던 작품이다. 영화의 성공과 함께 폐광 촌으로 쇄락의 길을 걷던 웨스트 버지니아의 콜우드 탄광촌에도 새 삶의 길이 열리고 있다고 한다.

호머 힉컴은 탄광촌에서 일하는 아버지가 폐병으로 고생하는 것을 보면서 탄광에서 일을 해야 한다는 자신의 운명에 회의적인 고등학생이다. 미식축구에 소질을 보여 대학교 장학금을 받을 예정인 형과는 달리 운동에도 소질이 없고, 특별히 잘하는 것도 없는 이 소년의 유일한 위안거리는 바로 그의 주변을 찰떡같이 붙어 다니는 두 친구, 셔먼 오델과 로이 리 쿡 뿐이다. 그러던 1957년 10월 밤, 호머는 밤하늘의 별들 사이로 날아가는 소련의 최초 인공위성, ‘스푸트니크’를 보고 깊은 감명을 받은 후 ‘언젠가 우주를 향해 날아가리라’는 꿈을 품으며 로켓 제작에 뛰어든다. 자기 집 앞마당의 울타리를 폭죽 탄으로 박살 낸 후 더 정확하고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걸 깨달은 호머는 두 명의 친구와 학교에서 소문난 ‘공부벌레’ 인 쿠엔틴 윌슨을 끌어들여 로켓제작에 나선다. 아버지의 반대, 미식축구를 하면서 은근히 그를 무시하고 놀리는 형 짐과 그의 팀 멤버들, 그리고 반 친구들의 멸시를 뒤로 한 체 그들의 첫 로켓의 점화 선에 불이 붙는데...

실제 호머 힉컴의 스토리와 관련된 재미있는 사실들. 영화와는 달리 실제 로켓 제작에 참여했던 소년들은 모두 일곱 명이었다. 후에 제작된 영화에 관한 다큐멘터리에는 이 일곱 명 중 네 명만이 참여했는데, 영화에 등장했던 호머 힉컴과 셔먼 오델, 로이 리 쿡이 인터뷰에 참여했다. 남은 한 명인 쿠엔틴 윌슨 대신 ‘빌리 로즈’ 라는 역시 로켓 보이 중 한 사람이 참여했다. / 영화에서 아들의 로켓 제작에 회의적이었던 존 힉컴은 실제로는 일부 사항에 대해 아들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탄광회사가 보유하지 않은 지역 안에서 로켓 발사대를 설치하게 해 준 것도 호머의 아버지 존이었다고 한다. 아버지가 로켓 제작을 직접적으로 반대하기 시작한 것은 호머가 탄광에서 일할 뜻이 없음을 안 후, 그리고 그들의 로켓이 산불을 일으켰다는 오해를 받기 시작한 이후부터라고. 영화와 실제가 같은 점은 아버지 존이 아들의 로켓 발사에 마지막 발사 단 한 번만 참여했다는 것이다. / 영화의 주인공인 호머 ‘서니’ 힉컴은 현재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엔지니어로서 은퇴한 뒤 작가로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그는 영화에 잠시 이름만으로 등장하는 버지니아 테크(VIT:버지니아 주립 공대)에 진학한 후 나사에 입사했다. / 집 앞마당의 폭죽 폭발로 울타리를 망가뜨린 이후, 그들은 몇 번의 실패를 거듭한 끝에 겨우겨우 로켓을 땅에서 올리는데 성공했다고 한다. 영화에서는 이 부분을 생략하고 쿠엔틴이 합류한 이후 곧바로 성공한 것처럼 표현되었다. /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가 발사된 1957년 10월을 뜻하는 것으로 지어진 영화의 제목 ‘October Sky’의 스펠을 다시 조합해 보면, 신기하게도 호머 힉컴의 원작인 ‘Rocket Boys’가 된다. / 영화상에서 전국 과학경진대회 도중 자신의 전시물, 특히 폰 브라운 박사의 싸인이 담긴 사진까지 모두 잃어버린 호머가 친구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러나 실제와는 달리 폰 브라운 박사의 사진은 잃어버리지 않았다고 한다. / 영화상에서 병원에 입원하여 그들이 쏘아올린 마지막 로켓이 날아가는 장면을 지켜보고 있는 미스 라일리는 실제로는 병원이 아닌 발사대에서 직접 그들의 마지막 로켓 발사를 지켜 보았다고 한다. 그 후 그녀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도중 쓰러져 실려나간 후, 젊은 나이에 숨졌다. / 작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등 필요에 의해 실제 인물들의 이름을 바꾸어서 가명을 쓰기도 했다고. 때문에 영화에 나오는 인물들 중 일부는 실제 이름이 아닌 가명이 많다고 한다. / 철길의 철못과 레일을 제거하던 소년들이 멀리서 들려오는 기차소리에 놀라 뛰어나갔다가 기관차가 다른 길로 빠지는 것을 보고 안심한 듯 주저앉는 장면이 나오는데, 당시 기관차를 운전하는 기관사는 실제로 그 시대에 생존하여 기관차를 운전한 경력이 있다고 한다. 그 지역에 남은 마지막 기관차 기사였다고. / 영화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배우들이 대사를 실제 웨스트 버지니아식 엑센트로 읊는데, 다른 지역에서 모인 배우들이라고 믿기에는 너무 힘들 정도로 대사처리가 자연스럽다. / 이 영화에서 아버지와 아들로 각각 공연한 크리스 쿠퍼와 제이크 질렌홀은 최근 개봉된 영화 ‘자헤드’에서 각각 사령관과 스나이퍼로 등장하여 다시 공연한다. / 영화 ‘아폴로 13’에서 제미니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퇴역 우주조종사 ‘딕 슬레이트’ 로 등장하는 크리스 엘리스와 호머 힉컴의 친구 ‘로이 리 쿡’으로 이 영화에 출연한 윌리엄 리 스캇의 영화 필모그래피 관계가 흥미롭다. ‘아폴로 13’에서 지구 재진입 계획을 지휘하는 엔지니어 존 역을 맡아 크리스 엘리스와 함께 출연한 바 있는 딘 로렌은 에단 호크 주연의 ‘가타카’에서 공연하는데, 딘 로렌의 아역으로 등장하는 배우가 바로 스캇 리 윌리암스이다.

옥의 티. 우선 로켓들의 방향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자신들의 무죄를 증명하는 장면이 아마추어 로켓 제작 수준에 비교해 너무나 정확하다. 공기역학과 바람의 방향, 그리고 실제 로켓의 추력 등 많은 데이터를 유추해야 하는 로켓의 방향과 거리를 너무나도 정확하게 단계 없이 계산하여 넘어가 버리는 주인공들의 모습이 어색하다. 발사 당시 바람이 불고 있었다면 그들의 예측보다 훨씬 먼 거리에서 로켓이 발견되었어야 한다는 것이 중론. 한 편, 미국의 화약 및 폭발물 제약 등에 관한 법률 때문에 로켓 제작이 불가능했다는 의견들도 분분한데, 당시 미국은 막 소련과 함께 우주 미션 레이스에 참여한 시기로 특별한 로켓 및 화약에 관한 정확한 제약이 없었다. 따라서 당시에 가능했던 로켓 제작은 현재는 불법이다. 그러므로 소년들이 로켓을 제작할 수 없다는 것은 억지이지만, 현재에 같은 상황을 연출하려고 한다면 연방 정부로부터 특별 허가증을 받아야만 한다고. 실제로 미국에서는 매년 전문 로켓 제작자들을 위한 로켓 경진대회도 열리고 있다. 그 규모가 커서 대회에서 우승하는 로켓의 경우 미 항공우주국에서 제작하는 부스터 급의 파워를 지니고 상공 2만 피트는 우습다는 듯이 도달한다고 한다.


자료출처:
http://movie.naver.com/movie/bi/mi/detail.nhn?code=30775

 

사용자 삽입 이미지




































Santa Carolina, Cabernet Sauvignon Reserva
산타 까롤리나, 까베르네 소비뇽 리제르바
 
 
 
 
상품코드  42813
빈티지  2005
용량  750 ml
가격  22,000 원 (수입사 책정 소비자가-판매처별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생산국 칠레(Chile)
 
생산지역 Central Valley > Rapel Valley > Colchagua Valley
 
생산자  산타 까롤리나(Santa Carolina)
수입원  롯데아사히주류 
 
 
 
종류   레드(Red)
포도품종 Cabernet Sauvignon 100%
알코올 13.8 %
음용온도  16~18 C
용도 분류  테이블 와인 
당도 분류  Dry
최종수정일 2009년 06월 29일 
조회/리플 795 / 0 
참고사항 
 
 
 
 
 
 
 
 
 
 
 
 
 
 
 어울리는 음식 
 
 
파스타나 붉은 육류, 구운 돼지고기와 맛이 가미된 치즈 등과 잘 어울린다.
 
 테이스팅 노트 
 
 
밝은 루비 빛을 띠고 초콜렛, 담배, 블랙베리향이 느껴지며 바닐라의 달콤함과 시나몬향이 느껴진다. 풀바디 와인으로 과일과 오크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긴 여운과 부드러운 탄닌이 특징적인 우아하고 복합적인 숙성잠재력을 가진 와인이다. 안데스산맥의 아랫자락에 위치한 Los Lingues와 Miraflores라는 가장 오래된 포도원을 자랑하는 지역으로 레드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해안으로부터의 바람의 영향을 받는 계곡과 구릉지대이며 레드와인, 특히 까베르네 소비뇽재배에 유리한 기후를 제공. 밤낮의 기온차, 기후의 일관적으로 최상의 품질의 포도가 생산되며, 양조전 엄격한 포도선별 작업 또한 특징이다. 
 
 
 생산자 "Santa Carolina" 에 관한 추가정보               (내용접기/펼치기)
 
Santa Carolina


산타 캐롤리나는 1875에 돈 루이스 케레이 코타포스가 칠레에서 와인양조 사업을 야심차게 계획하면서 시작된다. 산타캐롤리나 이름은 Dona Carolina Iniguez Vicuna라는 그의 와이프에 대한 사랑에서 기인한 이름이다.


산타캐롤리나의 각 포도원은 태양빛이 작렬하는 완벽한  포도주를 생산할수 있는 50여개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화산재로 이뤄진 포도밭에서 안데스의 만년설이 녹아 흐르는 청정한 물로 경작 되어진다.


산타캐롤리나는 가장 중요한 칠레 홀딩 중 하나이며 수출은 1100만케이스 칠레 주요 와이너리 4개중 한곳에 속한다.


- Santa Isabel (산타 이자벨)
카사블랑카 밸리에 위치
55 hectares (136 acres)


- Los Nogales (로스 노갈레스)
마이포 밸리에 위치
47 hectares (116 acres)


- La Rinconada (라 링코나다)
콜차구아 밸리에 위치
283 hectares (699 acres)


- Miraflores (미라플로레스)
콜차구아 밸리에 위치
103 hectares (255 acres)


- Los Lingues (로스 링구스)
콜차구아 밸리에 위치
78 hectares (193 acres)


- Llallauquen (야야우쿠엔)
콜차구아 밸리에 위치
125 hectares (279 acres)

www.santacarolina.com
 
 
 

Distell, Obikwa Cabernet Sauvignon
디스텔, 오비콰 까베르네 쇼비뇽
 
상품코드  45638
빈티지  2008
용량  750 ml
가격  13,000 원
생산국 남 아프리카(South Africa)
생산지역 South Africa etc.
생산자  디스텔(Distell)
수입원  길진인터내셔날 
종류   레드(Red)
포도품종 Cabernet Sauvignon 50%, Primitivo 50%
음용온도  16~18 C
용도 분류  테이블 와인 
당도 분류  Dry

어울리는 음식 
각종 육류요리와 중국음식 등과 잘 어울린다.

생산자 정보
Distell
이 와인의 이름인 ‘오비콰’는 사우스 아프리카의 케이프 지역에 거주하였던 오래된 부족의 이름으로부터 따온 것으로, 이 와인은 그들의 인내와 창조정신을 찬미하는 것과 동시에 타조의 강인함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아프리카에서 타조의 알은 여러 세대에 걸쳐 물을 보관하는 용기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와인의 레이블에 그려져 있는 타조의 이미지는 소중한 물을 저장해온 타조 알과 같이 포도나무에서 얻어낸 자연의 과즙인 와인을 병 안에 보관하는 것에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 와인은 케이프 지역에서도 가장 품질 좋은 포도재배지인 스텔렌보쉬(Stellenbosch) 지역에 위치한 아담 타스 셀라(Adam Tas cellar)에서 양조되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에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와인으로 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습니다.

www.distell.co.za

G7 The 7th Generation
Melrot 2009
D.O. Loncomilla Valley

제품유형: 과실주
원산지: 칠레
제품명: G7 Merlot
수입업자: 주식회사 신세계엘앤비
              Tel: 02-727-1685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가 204번지 메사빌딩 14층
알콜분 및 용량 13% vol 75cl
원료명: 포도원액, 무수아활산(산화방지제)
반품 또는 교환: 수입업자 또는 구입처
사용 또는 보존기준: 취급은 신중히 서늘한 응달에 보관
병입년월일: 2009
제조회사: VICAR S.A

SHINSEGAE L&B CO., LTD.

g7_2008

G7 The 7th Generation
Cabernet Sauvignon 2008
D.O. Loncomilla Valley

제품유형: 과실주
원산지: 칠레
제품명: G7 Cabernet Sauvignon
수입업자: 주식회사 신세계엘앤비
              Tel: 02-727-1685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가 204번지 메사빌딩 14층
알콜분 및 용량 13% vol 75cl
원료명: 포도원액, 무수아활산(산화방지제)
반품 또는 교환: 수입업자 또는 구입처
사용 또는 보존기준: 취급은 신중히 서늘한 응달에 보관
병입년월일: 2009
제조회사: VICAR S.A

SHINSEGAE L&B CO., LTD.

dourthe_medoc_2006

Dourthe, Medoc Grands Terroirs
두르뜨, 메독 그랑 떼루아 

빈티지  2006
용량  750 ml
가격  32,000 원 (수입사 책정 소비자가-판매처별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생산국 프랑스(France)
생산지역 Bordeaux > Medoc
생산자  두르뜨(Dourthe)
수입원  길진인터내셔날 
종류   레드(Red)
포도품종 Cabernet Sauvignon 70%, Merlot 30%
알코올 13 %
음용온도  16~18 C
용도 분류  테이블 와인 
당도 분류  Dry
참고사항  Medoc AOC

어울리는 음식 
레드와인소스와 곁들인 스테이크, 진한 풍미를 가진 파스타와 잘 어울린다.

테이스팅 노트 
영롱한 빛이 감도는 짙은 레드 컬러와 함께 블랙커런트나 까시스와 같은 잘 익은 과일의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는 와인입니다. 입안에서 다시 한번 그 풍부한 향과 정교한 탄닌을 느낄 수 있으며, 입안 가득 점성이 느껴지는 풀바디의 와인으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합니다. 까베르네 쇼비뇽을 주 품종으롤 하는 메독와인의 특징인 강렬함과 풍부한 향과 맛의 조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생산자 정보
Dourthe

두르뜨는 1840년에 프랑스 보르도에 설립된 와이너리이자 네고시앙으로, 창립이래 165년 동안 성실과 열정으로 품격 있는 보르도 와인생산의 전통을 유지해온 회사이다. 현재 전제매출의 50%이상을 해외 80개국에 수출하고 있는 세계적인 그룹회사로, 보르도 지역에 그랑 크뤼 끌라쎄를 포함하여 7개의 자가 포도원을 직접 소유, 관리하고 있다.

또한 보르도 지역내의 70개 이상의 포도원에서 포도를 독점으로 공급받고 있는 보르도 지역에서 가장 앞서가고 있는 와인 회사의 하나이다. 특히 프랑스 내의 레스토랑, 호텔, Bar 등의 와인 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는 브랜드이며, 뿐만 아니라 하이퍼마켓, 슈퍼마켓, 항공사, 면세점, 각종 와인샵 등의 모든 유통경로를 다양하게 확보하고 있다.

두르뜨 사의 오너인 Jean-Marie Chadronnier 와의 믿음으로 이루어진 오랜 파트너쉽을 통해 세계적인 유명한 와인 메이커인 Michel Rolland 이나 Denis Dubourdieu 이 두르뜨의 주요 와인의 생산을 지휘하고 있다.
또한 두르뜨의 와인은 뛰어난 품질과 그에 합당한 가격으로 대중적으로 사랑 받고 있으며, 각종 와인 잡지나 와인계 전문가들에게 끊임없는 찬사를 받고 있고, 국제적인 와인 평가에서도 많은 상을 수상해 오고 있다.

www.dourthe.com 

 

 

[출처:와인서쳐]
http://www.winesearcher.co.kr/wine_detail/wine_detail.html?uid=37691

+ Recent posts